[단독] 숨진 김은지 교사 일기장 등 입수…"무조건 살자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의정부 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다 숨진 김은지 선생님, 정부는 이 죽음을 순직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공무와의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고 했는데요.<br /><br />연합뉴스TV가 선생님의 의료 기록과 일기장 등을 전체 입수해 분석해보니, 의문을 제기할 지점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년 전 숨진 김은지 선생님의 일기와 의료기록입니다.<br /><br />김씨는 교직을 시작한 2017년, 처음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았습니다.<br /><br />담임 업무를 맡았는데 반 아이들이 뺨을 때리며 싸우는 일이 있었고 학부모 상담도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유족들은 당시 학부모의 민원 전화가 밤낮을 가리지 않았고, 김씨는 전화가 오면 불안해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시기 김씨가 의사에게 털어놓은 내용을 보면 정신적 고통이 얼마나 심했는지 나타납니다.<br /><br />다음해인 2018년과 이어 2019년 담임을 맡은 시기 진료 기록에 '불안감이 엄습했다', '애들과 교실이 무섭다', 극단적 선택 가능성까지 언급됐습니다.<br /><br />담임을 맡지 않았을 때 '잘 마칠 것 같다', '편안하다'고 말한 기록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.<br /><br /> "어떤 능력 있는 교사도 악성 민원인을 만나면 정말 자격 없고 욕 먹어도 마땅한 그런 사람이…"<br /><br />병이 깊어지자 2019년 말 결국 학기 중 휴직을 결정한 김씨.<br /><br />이후 일기입니다.<br /><br />"죽는 건 두렵다. 무조건 살 것이다", "내가 어떻게 회복될지 기대된다", "복직을 생각하는 내 모습을 보고 놀랐다"고 적었습니다.<br /><br />담임 업무와 거리를 두자 심리적 안정감을 느낀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2020년 영어를 전담하며 '편안한 편'이라고 했던 김씨, 1년 뒤 5학년 담임을 다시 맡았고, 학부모 민원 등 비슷한 일들은 반복됐습니다.<br /><br />그해 6월 김씨는 유명을 달리했습니다.<br /><br />학교 측은 2년 전, 어떤 조사를 했는지 밝히지 않고 있고, 김씨의 사인은 '추락사'로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이 죽음을 순직 처리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공무와의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어렵고, '개인적 취약성'이 사망으로 이어졌다고 봤습니다.<br /><br />유족들은 이 죽음은 명백한 공무상 재해라며 인사혁신처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 (intense@yna.co.kr)<br /><br />#교직 #담임 #학부모 #민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